교통법규를 위반하면 누구든지 과태료나 벌점을 피할 수 없습니다. 특히 신호위반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위반 사항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과태료 금액과 벌점도 만만치 않습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신호위반 과태료 금액, 벌점 기준, 조회방법까지 총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.
1. 신호위반 과태료 금액, 벌점 기준, 조회방법 총정리
1) 2025년 신호위반 과태료 금액 (단속카메라 기준)
2025년 기준 신호위반 시 부과되는 과태료는 아래와 같습니다:
구분 | 승용차 | 승합차 | 이륜차 | 자전거, 손수레 |
일반도로 | 80,000원 | 90,000원 | 60,000원 | 30,000원 |
보호구역 | 130,000원 | 140,000원 | 90,000원 | 60,000원 |
※ 단속 카메라에 적발될 경우, 벌점은 부과되지 않지만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2) 신호위반 범칙금 (경찰관 현장 적발시)
- 일반도로 : 6만원 -> 8만원 (2025 인상)
- 보호구역 : 12만원 -> 13만원 (2025 인상)
- 벌점 : 15점
3) 신호위반 벌점 기준
직접 경찰에게 적발될 경우 벌점 15점이 부과되며, 누적 벌점에 따라 면허 정지 또는 취소가 될 수 있습니다.
- 벌점 40점: 면허 정지 (40일 이상)
- 벌점 121점 이상: 면허 취소 가능
주의: 벌점은 1년 동안 누적되며, 일정 기간 내 반복 위반 시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4) 신호위반 조회방법
신호위반 여부는 아래 사이트를 통해 손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
경찰청 이파인(eFINE)
- 이파인 홈페이지 접속
- ‘교통단속 조회’ 메뉴 선택
- 차량 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
- 위반 내역 및 납부 현황 확인 가능
2. 신호위반 과태료와 벌점을 피하려면?
많은 운전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신호를 위반하거나, 황색 신호에서 무리하게 통과하다 적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작은 실수 하나가 벌점, 과태료, 나아가 운전면허 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✔ 예방 팁
- 정지선 앞에서 반드시 멈추기
- 황색 신호에 무리한 통과 금지
- 블랙박스로 자신의 운전 습관 점검하기
3. Q&A. 자주 묻는 질문
Q. 신호위반 과태료는 언제까지 납부해야 하나요?
A. 과태료 고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하며, 기한을 넘기면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Q. 신호위반 과태료 조회는 실시간으로 가능한가요?
A. 보통 단속 후 3~7일 내에 시스템에 등록되며, 이후 이파인이나 정부2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. 신호위반으로 벌점이 누적되면 면허 정지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A. 일반 운전자는 1년 동안 벌점이 40점을 초과하면 면허가 정지됩니다.
4. 신호위반 과태료, 지금 바로 조회해보세요
신호위반 과태료 금액은 생각보다 높고, 반복 시 벌점 누적으로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지금 바로 이파인을 통해 위반 여부를 조회하고, 문제 발생 시 즉시 납부 및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